교육부는 8월 21일, 전국 시‧도 교육청과 함께 직업계고 현장실습의 안전관리를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현장실습 중 학생들의 산업재해 및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이번 대책은 △현장 실습 업체 안전 점검 강화 △재난 대응 매뉴얼 정비 △실습 참여 학생 대상 안전 교육 확대 △위험성이 높은 현장 사전 차단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실습생의 권익 보호와 안전 확보를 위한 “사전-실습 중-사후 관리” 전 단계 체계를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장실습은 직업계고 학생들의 진로 탐색과 실무 경험에 중요한 기회지만,
안전이 담보되지 않으면 학부모들의 불안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이번 대응은 학부모가 안심할 수 있는 현장실습 환경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습 경험은 학생들의 직업 역량 강화에 큰 도움이 되지만,
동시에 산업 현장의 특성상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학부모 입장에서는 이번 조치가 자녀의 학습권 보장과 안전 확보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정책적 개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교육부는 앞으로도 시‧도 교육청과 협력해 지속적으로 실습 현장을 점검하고,
학생·교사·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안전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추천 학년 대상]
고등학교 1~3학년, 특히 직업계고 진학 또는 재학 중인 학생 가정.
[출처]
교육부 보도자료 (2025.08.21) — 교육부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