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1.9℃
기상청 제공

‘2018년 소프트웨어 교육 성과발표회 및 시상식’개최

[담당부서]

교육부 융합교육팀 장원영 연구사(☎044-203-703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경희 사무관(☎02-2110-1809)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가 주최하고, 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 한석수)과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직무대행 최연구)이 주관하는 ‘2018년 소프트웨어 교육 성과발표회 및 시상식’이 12월 20일(목) 11시, 서울 드래곤시티에서 개최되었다.(붙임1. 참조)
○ 올해는 중학교를 시작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필수화가 성공적으로 시행된 첫 해로, 
- 이번 발표회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 유공자 및 공모전 입상자들에 대한 시상식과 함께,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7개 시.도교육청이 협력해 온 소프트웨어 교육 현장 안착 지원 및 활성화 사업의 우수 사례 및 성과가 공유되었다.
※ 성과발표 및 시상식 : 11:00~13:00 한라홀1, 2
포스터 세션 및 우수사례 발표 : 13:30~16:00 한라홀3
○ 이날 행사에는 유공자 및 공모전 수상자, 시.도교육청 및 직속기관 관계자, 시도별 우수 연구.선도학교, 교과 연구회, 학생 동아리 등을 운영한 교원, 학생 등 450명이 참석하였다.
□ 성과 발표 및 시상식에서는 2018년 소프트웨어 교육의 주요 성과를 발표하고, 유공자 및 공모전 수상자에게 총 120점의 표창장과 상장이 수여되었다.(붙임2. 참조)
○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유공 및 발전 공로자 79명과 4개 기관, 마이스터고 공로자 3명에게 표창장이 수여되었다.
○ 또한, 그간 소프트웨어 교육을 내실 있게 운영한 우수 선도학교 20교에도 표창장과 상장이 수여되었다.
○ 그리고, ‘수기 공모전’ 입상자 10명, ‘온라인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전’ 입상자 2팀, 예비 교원 대상의 ‘에듀톤 대회*’ 입상자 2팀에 대한 시상도 이루어졌다.
* 에듀톤 대회 : 교대, 사범대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수업지도 역량 함양을 위해 수업지도안 설계, 시범수업 및 발표평가 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교육 수업 설계 대회
□ 포스터 세션 및 우수사례 발표에서는 17개 시.도교육청의 주요 사업별 우수 사례 공유와 함께, 온라인 콘텐츠 및 플랫폼(’18년~, ebssw.kr), 교과서?보조교재, 비버 챌린지(Bebras Challenge)* 콘텐츠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되었다.
* 사전 지식 없이, 퀴즈 형식의 문제를 통해 컴퓨팅 사고력을 키우는 ‘평가 방법’이자 ‘교육 운동’(’04년 리투아니아에서 시작, ’16년 전세계 49개국 170만명 학생 참여)
○ 올해는 연구.선도학교 1,641개교, 학생 동아리 1,891개교, 교과 연구회 80개가 전국적으로 운영되어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바 있으며, 
- 이번 성과 발표회에서는 시도별 대표 연구.선도학교, 학생 동아리, 교과 연구회의 운영 사례가 포스터로 전시.발표되었다.



교육뉴스

더보기
[고교학점제 시대 개막] “우리 아이는 어떤 과목을 들을까?”…선택권 넓어진 고등학교
2025학년도부터 고등학교 전면 도입된 고교학점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학생들의 과목 선택 폭이 크게 넓어졌다. 자녀의 진로 설계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이 기대되는 가운데, 학부모의 역할과 관심도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교육부는 올해부터 전국 고등학교에 고교학점제를 전면 도입했다고 밝혔다.기존의 일괄적인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직접 선택해 이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수강 과목은 공통과목뿐 아니라 심화과목, 융합과목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누적 학점 192학점을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이 제도는 학생 개개인의 흥미와 진로에 따른 학습 다양성을 보장하고,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진로가 뚜렷한 학생들은 전공 연계 과목을 선택해 보다 실질적인 준비가 가능해졌다. 하지만 일부 학부모들은 “과목 선택 과정에서 정보 부족으로 혼란을 겪고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실제로 학교별로 개설 과목이 다르고, 교사 수급이나 강의 운영의 차이로 인해 선택의 폭이 제한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이제는 학교-학생-학부모가 모두 협력하


재등록 공식(학부모가 남는 학원 vs 떠나는 학원 ) - 박상민 원장님(학관노 대표강사)

 재등록 공식 학부모가 남는 학원 vs 떠나는 학원 ​ ​ ☞ 주관 : 학관노 ☞ 강사 : 박상민 원장님(학관노 대표강사, 마초1기 주임교수) ☞ 일정 : 3.14(금) 오전 9:30~11:30 ☞ 교육비 : 무료 / 온라인 Zoom 진행​ ​ ☞신청하기 : https://bit.ly/3CSLcQr * 신청시 전화번호 정확히 입력해주세요! * 크롬브라우저 또는 모바일로 신청가능합니다. * 온라인 설명회 안내는 신청자에게 따로 문자 안내됩니다. ​ ☞ 참가자 제외 1. 학원장이 아닌 업체 관계자 2. 타학원 커뮤니티 운영진 및 강의자   ​ 신규생 모집이 끝난 지금, 학원의 1년 매출이 결정됩니다. 이제 학원의 1년 매출이 어느 정도 결정된 시점입니다. 어떤 학원은 신규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만, 어떤 학원은 몇 달 만에 학생이 빠져나갑니다. 이 시점에서 학원장의 가장 큰 고민 ✅ 신규생이 초반 3개월 내 빠지지 않도록, 학부모 신뢰를 유지하는 법 ✅ 학부모가 학원에 만족하고, 자연스럽게 재등록을 결정하도록 만드는 전략 ✅ 학부모가 '이 학원이어야 해!'라고 느끼게 만드는 차별화된 운영법 ✔ 무엇이 이 차이를 만들까요? 1. 상담만 하고 등록안했던 그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