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학교·학원 집중방역 기간 운영 결과 ◈ 집중방역 기간 동안 전국 146,077개 교육시설 특별점검 실시 - 전국 유·초·중·고 집중방역 기간(4.21.~5.11.) 동안 학교의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추이 소폭 감소 ◈ 서울·울산교육청, 이동형 유전자증폭(PCR) 검체팀 시범 운영 기간(5.3.~5.14.) 동안 67개교 학생 4,669명 검사 ◈ 학원 종사자에 대한 선제적 유전자증폭 검사 실시 ◈ 서울대학교 신속분자진단 2주간 운영 결과 검사자 전원 음성 판정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에 대비한 학교의 안전과 일상회복 지원을 위해 4월 21일(수)부터 3주간 ‘전국 학교·학원 집중방역 기간’으로 정하여 운영하였다. ㅇ 그 기간에 ①교육기관에 대한 기본방역 수칙을 안내하여 철저히 준수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이에 대한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하고, ②서울특별시·울산광역시교육청의 이동형 유전자증폭 검체팀을 감염병에 대한 신속한 선제적 검사를 위해 시범 운영하였으며, ③ 학원의 선제적 유전자증폭 검사와 ④ 서울대학교의 신속분자진단 등이 추진되었다.
담당과 미래교육기획과 과 장 이상돈 사무관 김은미, 사무관 이은서(☎044-203-6386, 6247)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센터장 조재동(☎02-3780-9731) 전 국민의 온라인 배움터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신규강좌 선정결과 발표 ◈ 국내외 세계적인 석학 강좌 개발에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세대별 맞춤 강좌에 JTBC 선정 ◈ 실습 등이 포함된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을 4차 산업혁명 분야 강좌에 신규 적용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강대중)은 2021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이하 케이무크) 신규강좌 선정결과를 발표하였다. * K-MOOC : Korea-Massive Open Online Course ㅇ 2개 방송사, 13개 묶음강좌 및 45개 강좌 선정에 10개 방송사, 13묶음, 94개 강좌가 접수되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무크 전문가, 학문 전공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이 기관 운영역량과 강좌 우수성을 서면 및 발표평가(온라인)를 통해 최종 선정하였다. ㅇ 국내외 석학강좌(한국형 마스터클래스)에는 EBS, 세대별 필수시리즈에는 JTBC가 선정되었으며, 실습·토론 등 온·오프
[담당과] 학생건강정책과 과 장 조명연(☎044-203-6877), 서기관 정희권(☎044-203-6547) 대학학사제도과 과 장 안웅환(☎044-203-6249), 사무관 이규성(☎044-203-6252), 사무관 노현정(☎044-203-6850) 전문대학지원과 과 장 김 석(☎044-203-6899), 사무관 조정휘(☎044-203-6406) 학원정책팀 팀 장 이현미(☎044-203-6218), 사무관 김 진(☎044-203-6380) ◈ 전국 학교·학원 대상 집중방역기간 운영 - ’21.4.21.부터 5.11.까지 유·초중고·대학 및 학원 3주간 운영 - 모든 학생·교직원 5대 예방수칙 준수 강조, 학교에서 반복 교육 및 학교 안팎 생활지도, 유증상자 관리 및 시설 방역 등 강화 - 교육부, 교육기관 현장점검단 6월 하순까지 집중 운영 - 교육부·교육청은 「학교일상회복지원단」, 교육부·대학은 「대학 방역관리 전담팀(TF)」 가동하여 주기적 점검 ◈ 서울지역 학교순회 이동 검체팀 시범 운영 - 서울지역 선제적인 PCR 검사 시범 추진, 추후 타시도 확대 검토 □ 교육부(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는 4월 21일(수)부터 3주간「전국 학교·학원 집중방역기
담당과 전문대학정책과 과 장 정윤경 사무관 지다슬, 주무관 이혜진(☎044-203-6401) 한국연구재단 전문대학지원팀 팀 장 윤애란, 연구원 곽두희(☎042-869-6429) 마이스터대 시범운영 사업 선정결과 발표 ◈ 고숙련 전문기술인재를 양성하는 마이스터대 모형 발굴·확산을 위한 시범운영 대학 5개교 선정 ◈ 단기 과정부터 전문기술석사과정까지 고도화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우수성과 도출 및 마이스터대 도입 기반 마련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4월 15일(목), 마이스터대 시범운영 대학 5개교(또는 컨소시엄)를 선정·발표하였다. ㅇ ‘마이스터대 시범운영 사업’은 고숙련 전문기술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부가 올해 신규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선정된 전문대학은 시범사업 기간(2년) 동안 단기 직무과정부터 전문기술석사과정까지 직무 중심의 고도화된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게 된다. * 단기 직무과정(1년 이하)-전문학사과정(2~3년)-전공심화과정(학사)(1~2년)-전문기술석사과정(2년 이상)으로 구성 -「고등교육법」 개정(2021.2월)으로 전문대학에 전문기술석사과정을 설치·운영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도 마련되어 마
2022년 고교학점제 부분 도입 그리고 2021년 현 초6이 고등학생이 되는 2025년은 2022개정교육과정에 따라 고교학점제가 완전히 도입됩니다. 오늘 에듀썰전에서는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고교학점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3월 모의고사의 결과가 심상치 않습니다. 올해 고3이 보는 수능은 문과와 이과가 통합된 선택형 수능으로 바뀐 수능 방식의 모의고사가 진행되었는데요. 수능도 아마 이번 모의고사와 비슷할 유형이 될 확률이 높을 것 같은데 이번 에듀썰전에서는 2022학년도 수능의 주요 변화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지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본 영상은 2021.3.26 촬영되었습니다
담당과 교육복지정책과 과장 장미란, 사무관 이승재, 교육연구사 신승희(☎044-203-6773, 6594) 한국장학재단 복권기금장학부 부장 손지화, 팀장 정병택(☎053-238-2200, 2210) 저소득층 중·고등학생의 꿈을 위한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금’지금 신청하세요. ◈ 신청기간: 4월 5일(월) ~ 4월 30일(금) ◈ 대상·인원: 중2~고3 학생 1,050명(저소득층 등) ◈ 지원내용: 장학금(매월 25~45만 원, 학교급·유형별 차등), 1:1 멘토링 등(유형별로 다름)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장학재단(이사장 이정우)은 2021학년도 복권기금 꿈사다리 신규 장학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ㅇ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은 역량과 잠재력을 갖춘 저소득층 중.고생을 선발하여, 대학까지 연계 지원하는 국가 장학사업으로, - 학생이 가진 꿈과 재능 및 긴급구난 필요성 등에 따라, ①꿈, ②재능, ③SOS 장학금의 3가지 유형으로 운영한다. ※① 꿈장학금: 학교에서 추천한 저소득층 우수 중·고생 선발·지원 ② 재능장학금: 특화된 재능을 보유한 저소득층 중·고생 선발·지원 ③ SOS 장학금: 질병·재난·재해·가정폭력 등에 따른 학업중단
담 당 교육부 지역혁신대학지원과 과장 이지현, 사무관 이유림(☎044-203-6924) 특허청 산업재산인력과 과장 이재석, 사무관 김현아(☎042-481-5456) 지역산업의 혁신성장을 주도할 미래 인재, 지식재산 전문인력양성 중점대학이 육성한다! ◈ 교육부-특허청-경상국립대·전남대·충북대, 지식재산 전문인력양성 중점대학 업무협약 체결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특허청(청장 김용래)은 ‘지식재산 전문인력양성 중점대학(이하 아이피(IP) 중점대학)’으로 선정된 3개 대학*과 아이피(IP) 중점대학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3월 30일(화) 체결하였다. * 경상국립대(총장 권순기), 전남대(총장 정성택), 충북대(총장 김수갑) ㅇ 이번 협약을 통해 교육부-특허청-각 대학은 지역 혁신기업의 지속성장을 이끌 지식재산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에 노력을 기울이기로 합의하였다.
2021.2.23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개정안의 입법 예고가 발표되었습니다. 오늘 에듀썰전에서는 영재고의 입시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그리고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지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자유학기제로 학업에 대한 부담이 줄어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기인 중1 하지만 진로 활동에만 집중하다가 자칫 학업에 소홀해지면 이후 진학이 어려워질 수 있는 난감한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 에듀썰전에서는 자유학기제와 이후 고교학점제의 적용을 받는 예비 중1 진로가 중요한지? 성적이 중요한지? 이야기 나눠봤습니다.